목표
- 1) 언어 발달 지체, 말더듬, 조음 장애 등의 전반적인 의사소통 문제로 인해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갖고 있는 학생들에게 적합한 활동을 전개하여 개인의 잔존 능력과 장애극복 의지를 향상시키고, 사회 적응력과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여 일상생활에 원만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.
- 2) 장애학생들은 다양한 사회 생활기술 등을 학습함으로써 학교라는 울타리 밖의 진정한 의미의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기초 능력을 배양하게 된다.
- 3) 장애학생과 일반 학생이 함께 생활하고 교육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장애ㅐ인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사회 한 구성원이라는 공동체의식을 함양한다.
기본방침
- 1) 치료지원의 운영 방법은 학교 치료사에 의한 치료지원과 치료지원 바우처 등으로 운영한다.
- 2) 학교 치료사에 의한 치료지원은 학부모의 의견을 수렴한 후 희망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시간과 관련 교과시간을 이용하여 운영한다.
- 3) 학교 치료사에 의한 치료지원은 지원자가 많을 경우 개별화교육지원팀의 심의를 거쳐 선정한다.
- 4) 치료지원 바우처는 학부모의 의견을 수렴한 후 개별화교육지원팀의 심의를 거쳐 선정하며, 지정된 사설치료기관을 이용해야 하고, 재활치료와 치료영역이 다를 경우 중복지원을 할 수 있다.
중점실천내용
사업명 | 목표량 | 대상 | 실천시기 | 예 산(천원) | 담 당 | 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/4 | 2/4 | 3/4 | 4/4 | |||||
기자재 점검 및 수리, 검사도구 및 기자재 구입 | 수시 | 해당 교사 | ○ | ○ | ○ | ○ | 4,500 | 치료지원 치료사 |
개인별 치료비(바우처)지원 | 월1회 | 해당 학생 | ○ | ○ | ○ | ○ | 44,400 | 치료지원 치료사 |
중증장애학생 보조기기 구입 | 수시 | 해당 학생 | ○ | ○ | ○ | ○ | 10,000 | 치료지원 치료사 |
학교 치료 지원실 운영 | 수시 | 해당 학생 | ○ | ○ | ○ | ○ | 비예산 | 치료지원 치료사 |